본문 바로가기

Aviation

EOBT : Estimated off-block time 에 대하여

반응형

안녕하세요 다들 주말 잘보내고 계신가요, 요즘 티스토리에 눈팅을 많이하는데 생각보다 많은 분들께서, 전문 지식들을 공유하고있고, 본업을 제외한 시간에도 법공부로 변호사를 준비하고, 재산공부도 하고 스스로 자아실현에 다가가기위해 의미있는 삶을 사시는분의 티스토리를 보면서 많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제 비전터널처럼 좁아신 사고와 시야를 넓혀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오늘은 EOBT : Estimated off-block time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Reference, ICAO DOC 4444

Estimated off-block time. The estimated time at which the aircraft will commence movement associated with departure.
Reference, 항공교통관제절차

ESTIMATED OFF-BLOCK TIME ; EOBT(이동예정시간) : 항공기가 출발에 관련된 이동을 시작하게 될 예상 시간.

정의는 이렇습니다. 항공기가, DEPARTUE과 관련된 이동을 시작하게되는 예상 시간인데요. 말그대로 출발을 위하여 이동하게 되는 예상시간인데, 우리가 상상을해본다면 만약 민항기가 출발을 위해 언제 이동을 시작할까요? 바로 APRON에서 토잉카에 의해 견인되어 TAXI WAY에서 정상적으로 자력으로 이동할 수 있을때 입니다. 이 시간을 EOBT 즉, 이동예정시간이라고 하죠, ICAO FLIGHT PLAN에도 기입할수있는 이 시간은 이 항공기가 언제 출항할수있는지 예측하기에도 쓰입니다.

ICAO FLIGHT PLAN ITEM 13에서 사용되는 EOBT

 

 그렇지만 EOBT를 알아야하는 이유는 또 다른이유가 있는데요, 바로 비행/승무시간(Flight Time) 산정에 대한 내용때문입니다. 항공안전법 시행규칙과도 연관되어 있는내용인데요, 같이 한번 보시죠

Reference,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 18]

여기서 말하는 승무시간은 Flight Time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비고

1. "승무시간(Flight Time)"이란 비행기의 경우 이륙을 목적으로 비행기가 최초 로 움직이기 시작한 때부터 비행이 종료되어 최종적으로 비행기가 정지한 때 까지의 총 시간을 말하며, 헬리콥터의 경우 주회전익이 회전하기 시작한 때부 터 주회전익이 정지된 때까지의 총 시간을 말한다.

2. "비행근무시간(Flight Duty Period)"이란 운항승무원이 1개 구간 또는 연속되 는 2개 구간 이상의 비행이 포함된 근무의 시작을 보고한 때부터 마지막 비행 이 종료되어 최종적으로 항공기의 발동기가 정지된 때까지의 총 시간을 말한 다.

항공안전법 시행규칙에서 말하는 Flight Time의 법을 준수하려면 EOBT 시간을 알아야 하는것이죠, 왜냐하면 승무시간의 산정은 비행기의 경우 이륙을 목적으로 비행기가 최초로 움직이기 시작한 때부터 라고 하는 의미는 즉, EOBT 시간부터 이기 때문입니다.

 

조금더 디테일하게 덧붙히자면, 자력 출발의 경우에는 첫 번째 ENGINE이 시동한 시각부터 이며, 비행을 완료후 정지한 시간까지의 총 경과시간으로 (BLOCK TO BLOCK TIME, CHOCK TO CHOCK TIME)이라고도 합니다.

 

아무래도 EOBT가 그저 이륙을 목적으로 비행기가 움직이는 시간이 아닌, 항공안전법 시행규칙에서 정하는 승무시간에 대한 내용과 함께보시면 조금도 통합된 지식으로 만들수 있을것입니다. 이상입니다

반응형